'Heaven'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가복음 02. 복음의 시작  (0) 2012.01.10
마가복음 01. 요한 마가  (0) 2012.01.09
It changed me  (0) 2011.10.31
성령의 은사와 교회  (0) 2011.10.21
소통과 고통  (0) 2011.08.09

The transcript below is from "Translating the Gospels: A Discussion Between Dr. E.V. Rieu and the Rev. J.B. Phillips." The Bible Translator 6/4 (October 1955), pp. 150-159.

펭귄문고판 사복음서를 그리이스어에서 영어로 번역해 달라는 출판사의 의뢰로 저명한 고언어학자인 Dr. Rieu가 번역을 맡았습니다. 그런데 그는 당시 무신론자였습니다.

The Four Gospels: Newly Translated from the Greek; A Penguin Classic

그는 출판 후, 어느 인터뷰에서 다음과 같은 고백을 합니다.

Phillips(목사, 토론 상대):
Did you get the effect (I think I mentioned it in the Preface to Letters to Young Churches) that the whole material is extraordinarily alive? I think I used there the illustration that it was like trying to rewire an ancient house without being able to switch off the mains, which was quite a vivid and modern metaphor, I hope. I got that feeling, the whole thing was alive, even while I was translating. Even though one did a dozen versions of a particular passage, it was still living. Did you get that feeling?
* 제가 그러했듯이 귀하는 번역을 하면서 뭔가 생생한 느낌이 있지 않았습니까?

Rieu: I won't say I got a deeper feeling ...
* 그렇게 깊은 느낌은 아니었습니다.

Phillips: Yes?
* 예? (실망스러운 듯)

Rieu: ... But I got the deepest that I possibly could have expected.
* 제 말은, 제가 상상할 수 있는 최고의 감동을 받았다는 말입니다.

Phillips: Yes?
* 예? (놀라서)

Rieu: It changed me. My work changed me. And I came to the conclusion, as I said, I think, in my Introduction, that these works bear the seal of the Son of Man and God. And they are the Magna Carta of the human spirit.
* 저를 변화시켰습니다. 그 번역이 저를 변화시켰습니다. 제 결론은, 서론에서 언급했듯이 사람이면서 하나님의 아들의 봉인이 사복음서 속에 감추어져 있습니다. 그 말씀은 인간 영혼의 마그나 카르타(대헌장)입니다.

Phillips: Yes.
* 예.


'Heaven'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가복음 01. 요한 마가  (0) 2012.01.09
Christmas Message  (0) 2011.12.13
성령의 은사와 교회  (0) 2011.10.21
소통과 고통  (0) 2011.08.09
PREACHER BURNED HIS SERMONS THEN CAUGHT FIRE HIMSELF!  (0) 2011.05.26

기독교 신앙 생활을 하다보면 성령의 은사라는 말을 자주 듣게 됩니다. 은사란 선물이란 뜻입니다. 하나님이 성령의 감동하심으로 신자에게 주시는 특별한 능력이나 체험을 말합니다. 가장 흔하게는 자신도 전혀 몰랐던 외국어로 말하게 되는 방언이 있고, 환상, 예언, 심지어 의학적으로 쉽게 고칠 수 없는 병도 고치는 치유의 은사도 있습니다. 성경에는 없지만 방언처럼 언어가 아니고 글로 쓰는 방서라는 것도 본적이 있습니다. 그리고 성경에는 많은 은사의 종류가 있는데 그 소개는 생략합니다.
 

특히 70년대와 80년대 한국 교회에서는 신앙을 가진 사람들은 반드시 거치는 무슨 통과의례 같은 것으로 주입되어져 왔습니다. 이 은사운동은 80년대 후반, 여의도순복음교회에 변화가 생기면서 부흥의 열기가 잠시 약화되다가 그러다가 90년대 미국에서 온누리교회를 통해 들어온 빈야드운동으로 다시 불붙었습니다.

기독교의 본고장이라 할 수 있는 서구교회의 보수적인 교단에서는 성령의 이적 현상까지 부인하는데, 한국 교회에서의 은사운동은 전성기 때 그야말로 교단과 신학을 떠나 유행병처럼 들끓었습니다. 심지어 이런 현상을 가짜로 만들어 사기치는 일도 있었습니다.

그리고 지금은 주류 기독교층에서는 많이 수그러들었지만, 가끔 금이빨현상 같은 일이 등장하는 것을 보면 한국 교회가 얼마나 은사운동에 의해 영향을 많이 받았는지, 그 뿌리가 깊이 박혀있는지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교회에 은사운동이 일어나면 분명 교회적으로 좋은 일도 있긴 합니다. 눈에 보이지 않는 신앙의 세계가 눈에 보이는 일이 됩니다. 은사를 받은 신자는 좀더 확실한 신앙을 갖는 듯합니다. 당연히 교회 분위기는 기도나 집회에 있어서 더 뜨거워집니다. 그러면 목회자는 목회에 더 힘을 얻고 신이 납니다. 물론 신자들도 대부분 그렇게 되기도 합니다.

은사운동이 단기간적으로 교회에 긍정적인 힘을 실어주기는 합니다. 그러나 자세히 그 속을 살펴보면, 성령의 체험이나 은사 자체가 전혀 나쁜 것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그것을 받아들이는 사람들 사이에 이상한 부조화가 흐르는 일이 반드시 발생합니다. 

교회나 주변에 은사운동이나 체험 분위기가 형성이 되면 그런 체험이 없는 신자들은 체험한 사람들을 부러워하게 됩니다. 가장 흔한 방언도 못하면 마치 자신이 신앙이 부족하거나 아직 성숙하지 못한 계급인 것 같은 생각을 하게 됩니다. 백이면 백 다 모두 체험하는 것은 어렵습니다. 심지어 교회 안에도 구원받지 못한 사람들이 섞여 있는데, 체험은 더 말할 것이 없습니다. 그리고 은사를 받은 사람들 모두 다 겸손하지는 않습니다. 

특히 한국 교회에서는 고린도교회처럼 은사가 제대로 은사로 취급된 것이 아니라 (말은 그렇게 잘 합니다) 자신의 능력으로, 계급장으로 포장되기도 했습니다.

예수 믿으면 성령을 받습니다. 어떤 과정에 의해 신앙(구원)과 성령의 감동이 두 가지로 별다른 것처럼 갖는 것으로 보이기도 하지만, 원칙적으로 구원과 성령의 오심은 동시입니다. 내가 예수 믿는다는 사실이 내 주관(의식적인 판단)으로 확실하고 성경이나 교리적으로(객관적으로) 틀림이 없다면 나는 구원받았습니다. 그런데 대부분 사람들은 이것보다 한 단계 더 나아가고 싶어합니다. 좀 더 뭔가 있다는 것을, 내가 하나님께 정말 사랑받고 있다는 것을 어떤 현상에 의해 확인받고 싶어합니다.

자신이 어떤 신비한 체험이나 대단한 각성의 경험이 없다고 예수를 믿지 않는 것이 아닙니다. 모태신앙이나 아주 어렸을 때부터 교회에 다닌 사람들이 어떤 뜨거움이 좀 부족할 수도 있습니다. 

신앙이 감정의 세계냐 지식의 세계냐를 구분하는 것이 아닙니다. 오히려 그렇게 구분하자면 신앙은 의지에 가깝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순교할 수 있는 신앙은 감정적으로 뜨거워서 가능하지 않습니다. 지식이 가득해서도 아닙니다. 감정이나 지식의 조건들도 있지만 무엇보다 내가 선택한 신앙에 대한 굽히지 않는 의지가 제일 중요합니다. 즉 감정, 지식, 의지는 우리의 신앙 인격이 외부로 표현하는 방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중에 의지가 제일 중요해 보이는 것처럼 나타납니다.

나는 내가 구원받았다는 그 사실 하나가 그 어떤 것과도 바꿀 수 없는 기적, 이적, 체험이라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그 감격에 거꾸러뜨림을 당해보지 않았다는 것이 문제일뿐인데 그것조차도 나의 구원을 변경하거나 철회할 수 있는 것이 아닙니다. 내가 느끼지 못해도 나는 구원받을 수 있습니다. 

우습게도 이 구원의 확신문제로 한국 교회가  엄청나게 흔들리기도 했습니다. 계속 진행중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은사운동의 결과적인 맹점으로 나타난 것이 아이러니컬하게도 신자들에게 최종적인 구원의 확신을 줄 수 없었다는 것입니다. 그것은 성령께 무슨 문제가 있다거나 은사 자체가 부족해서 그런 것이 아니었습니다. 그것을 추구하고 원하는 사람들이 은사와 성령 체험을, 앞에서 말했듯 교회내 계급과 성도 개인의 어떤 능력치 평가, 그리고 은근한 과시와 자랑, 심지어 도덕성이 결여된 은사운동으로 나아갔기 때문입니다. 성경의 본질에서 흐려진 은사운동은 성도 개인의 구원이나 세상에서의 가치관 형성까지 나아가지 못했습니다. 이 죄의 원인은 교회 지도자들에게 가장 큽니다.

그리고 공허한 성도들의 영혼 속에 비집고 먹혀들어가기 시작한 것이 구원파, 베뢰아의 이론입니다. 많은 신자들이, 똑똑하고 열정적인 신자들이 그곳에 빠졌습니다. 게다가 목사들 중에 그쪽 계통에서 성경공부라는 과정을 통해 영향을 받은 사람들이 지금도 굵직한 교단, 선교단체, 조직들에 많이 분포되어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구원파 뿐만이 아니라 의식있는 청년들을 향해 신천지도 들어왔습니다. 이단은 기존 교회의 반면교사요, 엉뚱한 곳으로 향하는 구약 이스라엘에 대한 하나님의 심판 도구인 앗수르, 바벨론, 바사제국들로 비유할 수 있습니다.

때로 은사운동이 긍정적인 역할을 하기도 했습니다. 그리고 은사는 교회에서 있어야 할 중요한 것 중의 하나입니다. 그러나 은사를 어떤 체험이나 좁은 것으로 보고, 그 체험을 이기적으로 사용할 때 은사가 무가치해지는 것입니다. 은사는 체험하는 은사 외에도 훨씬 많은 은사들이 있습니다. 그리고 은사추구보다도 더 많은 풍성한 성장과 경험의 기회들이 성경말씀과 교회 공동체에 있습니다. 내가 죽고 낮아지지 않는다면 아무리 대단한 은사를 받았더라도 소용이 없습니다. 사도 바울께서는 그것을 사랑이라고 표현하셨습니다. 저는 다른 말로 십자가라고 하겠습니다.

교회를 세우려면 내가 죽어야 하는데, 모두 자기는 살고 영광 받겠다고 하니 교회가 살 수 있겠습니까?


상담을 원하시면 ebookcity@tistory.com 으로 메일 주시기 바랍니다.

'Heaven' 카테고리의 다른 글

Christmas Message  (0) 2011.12.13
It changed me  (0) 2011.10.31
소통과 고통  (0) 2011.08.09
PREACHER BURNED HIS SERMONS THEN CAUGHT FIRE HIMSELF!  (0) 2011.05.26
אשׁת־חיל  (0) 2011.05.25


8월 5일, SBS TV 프로그램 '기적의 오디션'에서 연기자를 뽑는 '미라클 클래스'의 이미숙 클래스 학생 6명의 수업과정과 그중 2명의 탈락자를 발표하는
장면을 방송했다.

이미숙은 고통 끝에 발표한 두 명의 탈락자에게는 특별히 직접 정성들여 쓴 이별편지를 남겼다. 그 중의 일부 내용은 배우 이미숙이 진정 연기가 무엇인지 아는 사람인 것을 보여주고 있다. 

"연기는 너의 괴로움과 고통을 피해 도망가는 도피처가 아니야. 다른 사람과 소통하고 캐릭터의 인생 속에서 그 사람의 인생을 사는 거야. 다른 사람의 마음을 이해하지 못하면 연기는 고통이 된다. 더 가슴을 열고 난 뒤의 ○○가 되길…"


'설교자에게 있어서 설교와 목회도 그런 것이 아닌가'라는 생각이 든다. 청중의
고통과 마주서는(소통) 설교자, 그들의 눈과 영혼을 직시하는 목사가 아니라면 그에게 설교와 목회는 고통이 아니겠는가?


'Heaven' 카테고리의 다른 글

It changed me  (0) 2011.10.31
성령의 은사와 교회  (0) 2011.10.21
PREACHER BURNED HIS SERMONS THEN CAUGHT FIRE HIMSELF!  (0) 2011.05.26
אשׁת־חיל  (0) 2011.05.25
ACTS 29, “미리 본 고로”  (0) 2011.05.25


PREACHER BURNED HIS SERMONS
THEN CAUGHT FIRE HIMSELF!

Revival Fires!
Jesus Life Series on Revivals and pioneers of revival
No. 35 Samuel Chadwick, England, 1860-1932

Samuel Chadwick was zealous for Jesus, but God had more in store for him: the power of the Holy Spirit’s fire!

Samuel Chadwick was born in the industrial north of England in 1860. His father worked long hours in the cotton mill and, when he was only eight, Samuel went to work there, too, as a means of supporting the impoverished family.
Devout Methodists, they attended chapel three times on Sunday, and as a young boy, Chadwick gave his heart to Christ. Listening to God’s word week by week, he often felt the inner call to serve Christ. It seemed impossible, as he was poor and uneducated, but in faith he made preparations. After a twelve-hour factory shift he would rush home for five hours of prayers and study.
At the age of 21 he was appointed lay pastor of a chapel at Stacksteads, Lancashire. It was no dream appointment! The congregation was self-satisfied.
Yet Chadwick threw himself in with great optimism. He had been trained to prepare well-researched and interesting sermons as the sure way to bring in the crowds. He recalled after:
“This led unconsciously to a false aim in my work. I lived and laboured for my sermons, and was unfortunately more concerned about their excellence and reputation than the repentance of the people.”
Soon, however, his sermons were exhausted and nothing had changed. Starting defeat in the face and sensing his lack of real power, an intense hunger was kindled within him for more of God. At this point he heard the testimony of someone who had been revitalised by an experience of the Holy Spirit. So, with a few friends he covenanted to pray and search the scriptures until God sent revival.
One evening he was praying over his next sermon, when a powerful sense of conviction settled on him. His pride, blindness and reliance on human methods paraded before his eyes as God humbled him to the dust.
Well into the night he wrestled and repented, then he got out his pile of precious sermons and set fire to them! The result was immediate: the Holy Spirit fell upon him. In his own words:
“I could not explain what had happened, but it was a bigger thing than I had ever known. There came into my soul a deep peace, a thrilling joy, and a new sense of power. My mind was quickened. I felt I had received a new faculty of understanding. Every power was vitalised. My body was quickened. There was a new sense of spring and vitality, a new power of endurance and a strong man’s exhilaration in big thing.”
The tide turned. At his next sermon seven souls were converted (“one for each of my barren years”), and he called the whole congregation to a week of prayer. The following weekend most of the church was baptised in the Holy Spirit and revival began to spread through the valleys. In the space of a few months, hundreds were converted to Jesus, among them some of the most notorious sinners in the area.
The pattern was repeated over the next few years as Chadwick moved to various places. 1890 saw him in Leeds, where the power of God was so strongly upon him that the chapel was full half an hour before the service began, and police had to control the crowds. The river of God moved strongly, and Chadwick records:
“We were always praying and fighting [the devil], singing and rejoicing, doing the impossible and planning still bigger things. The newspapers never left us alone, and people came from far and wide.”
Opposition was swept away and within a few years the chapel had to be demolished and a substantial Mission Hall built.
Always a man of the people, Chadwick would spend his Saturdays mixing with local workers. Once, when his wife was away, he teasingly invited anyone who was lonely to come for Saturday tea. He expected about a dozen. Six hundred turned up! Yet God had catered: one church member was a baker and had been awoken by the Lord with the order to bake for all he was worth!
The final phase of Chadwick’s life was spent as Principal of Cliff College, a Methodist training school for preacher, and it was here that he wrote his famous book, The Way to Pentecost, which was being printed when he died in 1932. In it we read:
“I owe everything to the gift of Pentecost. For fifty days the facts of the Gospel were complete, but no conversions were recorded. Pentecost registered three thousand souls. It is by fire that a holy passion is kindled in the soul whereby we live the life of God. The soul’s safety is in its heat. Truths without enthusiasm, morality without emotion, ritual without soul, make for a Church without power.
“Destitute of the Fire of God, nothing else counts; possessing Fire, nothing else matters.”

Jesus Life No. 43, First Quarter 1998, page 25

'Heaven'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령의 은사와 교회  (0) 2011.10.21
소통과 고통  (0) 2011.08.09
אשׁת־חיל  (0) 2011.05.25
ACTS 29, “미리 본 고로”  (0) 2011.05.25
강도 만난 자의 이웃  (0) 2011.03.16

+ Recent posts